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94)
퍼블리셔 면접 예상 질문 display:inline 과 display:block의 차이점 display:inline은 텍스트 요소를 말하여 display:block은 박스 영역을 의미합니다. float:left를 썼을 경우 영역사라짐(height:0)을 방지하는 방법? float:left를 쓰게 되면 레이아웃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즉 하이트 값이 없어짐 -> 영역이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을 막기위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는데 현재는 clearfix 방법을 추천합니다. - 깨지는 영역에 clear:both를 사용하여 영역깨짐 현상을 막을 수 있지만 레이아웃이 복잡한 곳에서는 어디가 깨지는지 알 수 없어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 부모요소에 display:inline-block을 사용하면 되지만 성질을 바꾸어야 하기 ..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어플리케이션과 웹의 장단점 어플리케이션 장점 - 시작 프로그램으로 등록 시 부팅과 함께 시작 가능하다 - 런칭해두면 종료 시까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 사업자가 원하는 외형 UI 구현이 가능하다. - 어플리케이션 내 리치 UI 표현이 가능하다. - 하드웨어 및 그래픽 리소스를 최대까지 활용할 수 있다. -? - 하드웨어의 다양한 장비 사용이 가능하다. -? - 하드웨어에 대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 - PC플랫폼이 지원하는 기능은 대부분 사용할 수 있다. - 백그라운드 수행 중에도 유저 노티가 가능하다. 어플리케이션 단점 - 유저가 직접 설치를 해야한다. - 특정 OS 및 기기에서만 실행해야만 한다. - 유저의 리소스를 많이 사용하게 한다. - 업데이트에 많은 난점이 있음 웹페이지 장점 - 다양한 OS 및 다양한..
API와 SDK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개발자가 공개적으로 노출한 멤버들을 사용하여 기능에 접근하고, 해당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된 코드를 숨길 수있는 인터페이스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운영 체제나 프로그래밍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만든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SDK(System Development Kit) -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 모음 - SDK 안에는 개발에 도움이 될 개발 도구 프로그램, 디버깅 프로그램, 문서, API 등이 있다.
운영체제 (OS) 운영체제(OS)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소프트웨어이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실행한 모든 프로그램들은 운영체제에서 관리하고 제어한다. 대표적인 운영체제는 Windows, Linux, Mac OSX, iOS 등이 있다.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가장 주된 목적은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것이다. 컴퓨터에는 수 많은 하드웨어가 존재한다. CPU, 메모리, 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네트워크 등이 있으며 이를 잘 관리해주어야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의 성능이 좋을수록 컴퓨터의 성능 역시 좋아진다고 할 수 있다.. 1. 윈도우(Windows)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운영체제로 기본적이며, 안정적이고 표..
JQuery fadeIn, fadeOut
JQuery 제이쿼리 장점: 페이지 내부 요소에 접근하기 쉽다. 제이쿼리를 사용하지 않으면 DOM 트리를 이용해서 요소(element)에 접근해야 하지만 제이쿼리를 사용하면 CSS의 선택자를 이용해서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 DOM 복잡 페이지의 보여지는 모습을 변경하기 쉽다. 동적으로 페이지의 모습(CSS)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야 하는데 제이쿼리를 이용하여 작성하면 코드도 간결해지고 직관적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 AJAX등에서 페이지를 리로딩하지 않고 동적으로 로딩할 때도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는데, 이것 역시 제이쿼리를 이용하면 코드도 간결해지고 더 쉽게 구현할 수 있다 상호작용 처리가 쉽고 애니메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HTML문서의 목적은 페이지의 구조와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인데 H..
SCSS,SASS CSS는 수정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 코드가 복잡해지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 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CSS 한계를 보완 하기 위해 CSS 전처리기를 사용한다. CSS 전처리기는 SASS, LESS, Stylus와 같은 도구들이 이있는데 각각 비슷하면서도 다른 구문과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연산, 중첩, 상속과 같은 기능들의 사용 할수 있어 CSS 구조를 가독성 있게 만들어주고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만들어 준다. SASS(SCSS) SCSS는 SASS 세번째 버전에서 추가되었는데 SASS의 모든 기능을 지원하면서 CSS 구문과 완전히 호환되도록 만들어졌다. SASS vs SCSS // SASS .wrapper width: 100px height: 200px .content color: white floa..